본문 바로가기
Forestsoop (숲숲) 글/영화

인어공주 My Mother The Mermaid (줄거리, 결말)

by forestsoop 2025. 4. 8.
728x90
 
인어공주
때밀이 울 엄마... 사랑이 뭔지 알기나 할까?나영(전도연)은 때밀이로 맹활약 중인 억척 엄마와 착해서 더 답답한 아빠와의 생활이 지긋지긋하다. 안그래도 '엄마, 아빠'라는 존재가 불만스럽기만 한 이 상황에 아빠는 갑자기 집을 나가버리고... 할 수 없이 아빠를 찾아 엄마, 아빠의 고향인 섬마을로 간 나영. 하지만 그 곳에서 꿈에도 생각지 못했던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이럴수가?! 스무살 적 그녀가 눈부신 첫사랑을 하고 있다!나영의 앞에 나타난 사람은 스무살 시절의 해녀 엄마 연순(전도연)! 씩씩한 모습은 그대로지만 현재의 모습과는 비교도 할 수 어뵤이 맑고 순수한 모습의 연순은 너무나 사랑스럽다. 그런데 지금 그녀는 섬마을 우체부에게 온 마음을 빼앗겨 있고,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맑은 눈빛의 우체부 진국(박해일) 또한 연순에 대한 마음을 감출 수가 없다. 하지만, 스무살의 연순과 진국은 첫사랑이 아직 서툴기만 한, 그야말로 연애 초보! 나영은 일단 엄마의 확실한 조력자가 되기로 마음먹고 두 사람의 사랑에 살짝 끼어드는데...과연 엄마는 첫사랑을 이룰 수 있을까?
평점
8.9 (2004.06.30 개봉)
감독
박흥식
출연
전도연, 박해일, 고두심, 김봉근, 이선균, 강동우, 이한위, 김부선, 최시연, 신동환, 손홍주, 김은영, 조현숙, 신삼봉, 장해숙, 윤가현, 신혜경, 이진선, 박명신, 민복기, 주진모, 김일종, 이성민, 김추월, 윤세정, 장효조, 송은주, 강한결, 이동기, 임형균, 김주연, 조아라, 홍지현, 김주희, 강희정, 김인숙, 박현두, 지승학, 사소인, 최민수, 이유나, 정지연, 김관우, 신수현, 정세린, 김보배, 이소정

 

🎬 인어공주 My Mother The Mermaid

개봉 : 2004년 6월 30일

장르 : 로맨스, 멜로 외

감독 : 박흥식

출연 : 전도연, 박해일, 고두심, 김봉근


 

인어공주는 박흥식 감독이 연출한 2004년 한국 영화로

딸이 과거로 돌아가 어머니의 젊은 시절과 첫사랑을 만나며 화해에 이르는 감성적인 드라마다.

전도연이 딸 나영과 젊은 어머니 역을 1인 2역으로 소화하며 깊은 연기를 펼치고

박해일이 어머니의 첫사랑 진국을 연기해 따뜻하고 섬세한 매력을 더한다.

제주도의 소박한 마을과 바다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가족의 사랑과 이해를 잔잔하게 풀어내며 관객에게 따뜻한 여운을 남긴다.

진국이 우체부로 등장하는 설정은 원작과 다르게 가상으로 재구성되었다.



🎬 줄거리 – 어머니의 과거로의 시간 여행

김나영(전도연)은 제주도 우체국에서 일하며 딸을 키우는 30대 여성이다.

아버지가 떠난 후 홀로 자신을 키운 어머니에 대한 원망을 안고 살아간다.

어느 날, 오래된 편지를 발견한 나영은 이상한 꿈을 꾸기 시작한다.

꿈은 현실로 이어지고 그녀는 1970년대 제주선택한 제주도로 시간 여행을 하게 된다.
그곳에서 나영은 젊은 시절의 어머니(전도연)를 만난다.

어머니는 마을 우체부 진국(박해일)과 풋풋한 사랑을 나누고 있다.

진국은 제주도에서 편지를 배달하며 주민들과 소박한 일상을 나누는 청년으로 어머니와의 만남을 소중히 여긴다.

나영은 두 사람의 사랑을 지켜보며, 어머니가 자신을 위해 감춰온 진심을 깨닫는다.


🛤️ 과거 속에서 발견한 어머니의 사랑

1970년대 제주에서 나영은 어머니와 진국의 일상을 가까이서 본다.

진국은 어머니에게 편지를 전하며 작은 선물을 건네고 어머니는 그의 따뜻한 마음에 끌린다.

전도연은 나영과 어머니의 감정을 섬세하게 오가며 딸의 원망과 어머니의 사랑을 깊이 있게 표현한다.

박해일은 우체부 진국의 순박함과 조용한 헌신을 자연스럽게 연기해 영화에 온기를 더한다.
나영은 어머니가 진국과의 사랑을 포기하고 아버지와의 결혼을 선택한 이유가 자신을 위한 희생이었음을 알게 된다.

제주 마을의 풍경과 우체국에서의 소소한 순간들은 이들의 이야기를 따뜻하게 감싸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다.


🎵 사랑을 떠나보낸 어머니의 선택

나영은 어머니와 진국의 사랑이 끝나는 순간을 목격한다.

진국은 어머니와 함께 마을을 떠나 새로운 삶을 꿈꾸지만 어머니는 현실을 택하며 그를 떠난다.

진국은 어머니를 보내고 다시 우체부 일을 시작하며 쓸쓸한 미소를 짓는다.

나영은 이 모든 것이 자신을 위한 어머니의 결정이었음을 알고 눈물을 삼킨다.
영화는 사랑이 반드시 이루어지지 않아도 그 마음이 가족을 통해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주 바다와 마을의 잔잔한 풍경은 이 장면에 깊은 감성을 더한다.


🎬 결말 – 어머니와 딸의 화해

현재로 돌아온 나영은 어머니와 딸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

그녀는 어머니를 찾아가 말없이 손을 잡으며 오랜 원망을 내려놓는다.

바닷가에서 나영, 딸, 어머니가 함께 서 있는 장면으로 영화는 끝난다.

진국과의 사랑은 끝났지만 그 사랑은 어머니와 나영을 통해 살아 있다.
결말은 조용한 화해와 가족의 소중함을 담아내며 관객에게 따뜻한 감동을 준다.


✨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

인어공주는 사랑과 희생이 가족을 잇는 보이지 않는 실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박흥식 감독은 제주도의 일상과 우체부의 소소한 삶을 배경으로 전도연과 박해일(가상)의 연기를 통해 잔잔한 감동을 끌어낸다.

2004년 개봉 당시 독특한 시간 여행 설정과 한국적 정서로 사랑받은 이 작품은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삶의 진실을 되새기게 한다.
전도연의 1인 2역과 박해일이 가상으로 연기한 우체부 진국은 어머니의 사랑과 딸의 이해를 아름답게 조명한다.

728x90